티스토리 뷰
지난번 리눅스 공부시간에 배웠던 환경변수.
환경변수 ? 시스템에서 설정한 전역변수이다.
환경 :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공간
변수 : 그 공간마다 지정된 값.
이전시간에는
(임시) export mypet = 'bomba and comong'
혹은
환경변수 .env 파일만들어서 영구적용하는 이유?
서버를 교체할때마다 셋팅을 해주기에는 무리가 있으니
환경변수를 관리하는 .env 파일 만들어 사용한다.
.env: Node.js에서 환경변수 영구 적용!!
1. dotenv 패키지를 설치한다.
npm init, npm install dotenv
이제 저장한 모듈을 가져와쓰려면?
2. env 파일을 생성한다.
모듈을 사용하기전에 최상위 루트경로에 .env파일 생성 환경변수 값들을 넣어준다.
3. .gitignore에 추가!!
4. env 파일 불러오기
const dotenv = require ('dotenv');
dotenv.config()
console.log(process.env.mypet)
블로그들을 찾아보니
비밀설정정보관리를 할시에 환경변수를 많이 사용한다고하낟.
연결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분.리.
해당 파일을 .gitignore을 통해 버전관리를 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 잠시!
gitignore 이란 무엇일까?
github에 push, update해야되지않아야할 파일들.
즉 git으로 관리하지않을 파일들을 등록하는 파일.
env에는 비밀설정정보들이 있으니, 깃허브에 올림안되고 그러므로 gitignore에 저장!
'백엔드&컴퓨터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SQL 문법 2. Group by / JOIN (0) | 2021.12.20 |
---|---|
[데이터베이스] im-sprint-learn-sql (0) | 2021.12.19 |
[데이터베이스] SQL 문법 (0) | 2021.12.16 |
[Linux] 리눅스 : 환경변수 (0) | 2021.12.13 |
[Linux] 리눅스 : 사용권한 (0) | 2021.12.13 |